아키텍처 개관 Four basic types of user-mode processes . Fixed (or hardwired) system support processes The kernel-mode components 핵심 Windows 시스템 파일들 대칭형 멀티프로세싱 Windows 는 멀티프로세서를 잘 지원하는 대칭형 멀티프로세싱(SMP)운영체제 이다. 어떠한 마스터 프로세서도 없으며 운영체제 및 사용자 스레드들은 실행을 위해 어떤 프로세서에서도 스케줄링 될 수 있다. 핵심 시스템 구성요소 이전 포스트를 참조 하자 http://maystyle.tistory.com/entry/Windows-Architecture |
SQL 2005에 로그인을 하다 보면 종종 18456 에러를 만나는 일이 있다. SQL Server 2005 SP2에서는 Fix 된 버그도 있습니다. 제목 : FIX: Error message when you try to use a SQL Server authenticated login to log on to an instance of SQL Server 2005: "Logon error: 18456" |
Windows Vista의 경우 네트워크 인증시 "NTVLM2"만 사용하는 것이 Default 설정입니다. 즉 Samba v3 이전의 liunx 기반의 NAS Storage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시작 > 실행 > secpol.msc 를 실행한다. 2. 로컬 정책 > 보안 옵션을 수정한다. 3. "NTVLM2 responses only" 를 "LM and NTLM – use NTLMV2 session security if negotiated"로 변경 |
출처 : SQL 2000 / 2005 전문가로 가는 지름길 (정원혁 저) SQL Server Profiler 분석 시 필요한 이벤트 열 정리 [Standard 템플릿 선택 시 기본 이벤트 창] - Security Audit : 성능 추적에 필요 없음 [추가 이벤트 Errors and Warnings] - Attention : 인터럽트 요청, 클라이언트 연결 끊어짐 등의 이벤트 [추가 이벤트 Locks] - 교착 상태 발생 시 Lock:Deadlock Chain 과 Lock:DeadLock 이벤트가 연달아 발생하며 이어 Exception이 발생 [추가 이벤트 Transaction] - Transaction 이벤트 클래스의 경우 데이터 열 표시를 위해 온라인 설명서를 참고하자 |
.net framework 3.0 Libraries 소스 공개
http://www.microsoft.com/resources/sharedsource/licensingbasics/referencelicense.mspx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MS에서 .net framework3.0 의 소스를 라이센스를 취득한 사람에 한하여, 공개를 합니다. 물론 수정 및 재배포는 않된다네요...ㅋ |
출처 : Windows 구조와 원리
몇일전 교육중에 부동 소수점 수 표기 법은 정수와 다르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그래서 그에 해당하는 내용을 다뤄 보고자 한다. 968.75 를 예를 들어보자. 968.75 는 0.96875*10E3 으로 표현 할 수 있다. 이때 96876를 가수 혹은 주요부(significant)라고 하고, 10의 곱에 해당하는 3을 지수(exponent)라고 한다. 이때 주요부는 항상 1보다 크거나 같고 10보다 작은 수가 된다. 이를 표준 형식 (normalized form)이라하고 표준 형식으로 표현하자면, 9.6875*10E2로 표현된다. 컴퓨터에서 예를 들어보자... 모두 알다 시피 9.6875는 이진수로 1001.1011이 된다. (추가 주요부는 2로 나누고, 지수부는 2를 곱한다. 종종 지수부는 반복된다.) 이를 공학 표기법으로 바꾸게 되면 1.0011011*2E3이 된다. 이때 중요한 점이 바이너리 표준 형식은 항상 소수점 왼쪽에 1일 올수 밖에 없다. 즉 컴퓨터에 저장할때는 해당 내용은 포함 하지 않는다. IEEE의 부동 소수 값을 저장하는 규칙을 보자 1bit : 부호 8Bit : 지수부 23Bit : 가수부 그리고 한가지더 부동 소수점 수는 항상 연산을 해야 하는 값이다. |
- 8 을 2의 보수로 표현 하자면 |
VAD는 실제 Physical Memory 가 아닌 Virtual Memory의 주소를 가르키고 있는 주소 집합이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