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을 읽기 위해서는 이전 Logical Query Processing 01 를 먼저 확인 하고 읽어야 한다. Logical Query Processing 01 : http://maystyle.tistory.com/420 Step 6 CUBE 및 ROLLUP 옵션 적용 Step 7 Having 필터 적용 VT7 * Aggregate Function 은 Subquery 를 허용하지 않는다. (예 HAVING SUM((SELECT …)) > 10 Step 8 Select List 처리 VT8 FISSA 0 Step 9 DISTINCT 조건 적용 Step 10 ORDER BY 조건 적용 SELECT * FROM (SELECT orderid FROM orders ORDER BY orderid) AS D; VC 10 Step 11 Top 옵션 적용 TOP 과 ORDER BY를 사용하게 되면 table expression 이 가능해집니다. 어차피 TOP의 반환 값이 Table이기 때문이죠. 이를 태면 위의 SELECT * FROM (SELECT orderid FROM orders ORDER BY orderid) AS D; 는 SELECT * FROM (SELECT TOP 100 PERSENT orderid FROM orders ORDER BY orderid) AS D; 변경하면 실행이 가능합니다. 그와 더불어 TOP에는 WTIH TIES 옵션을 같이 써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태면 상위 10%의 학생들의 이름을 확인 하라 라는 쿼리가 있다고 가자. |
[환경] [현상] 또한 클러스터 로그는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발생 시킵니다. [JOIN] Sponsor XXX.XXX.XXX.XXX is not available (JoinVersion), status=1753. [설명] [해결 방안] 지금 위의 예는 기본 값에 해당합니다. [추가 1] HKLM\System\currentcontrollset\services\tcpip\parameters |
[현상] 현상 2 [설명] 해당 메세지가 발생하면 먼저 netstat –ano 를 통해서 80포트를 사용중인 프로세스의 PID 값을 알아냅니다. 다만 이번 경우에 특이한 점은 바로 해당 80 포트를 Terminal 서비스에서 사용하고 있었다는 점이였습니다. 그런대 왜? 바로 80은 외부에 오픈되는 포트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한 가지 더! 보통은 멜웨어나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사용될 수 있겠죠. 이런 경우… 위와 같은 아주 쓰래기 같은 인간의 공격을 받는다면… |
88 번 포트는 Kerberos 통신을 위한 포트입니다. (뭐 다 알고 계시겠죠?? ^^) 자 이 88번 포트가 차단이 되는 경우에 Domain Controller가 Windows 2003이냐 Windows 2008이냐에 따라 반응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먼저 Windows 2003은 NTML Negosiation 을 해서 사용자 인증을 해줍니다. 자 DC를 Windows 2008로 업그래이드 하고 인증이 않된다면 88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요즘에 일도 많고 힘들어 죽겠는데… SQL Server 2008 에서 발생하는 버그예요. 정말 해외에 있는 클러스터에 원격으로 겨우 겨우 설치하는 중인데… 아주 가지 가지 하는군요… [해결 방법] [참고] |
시스템의 문제에 대한 대비로써도 그렇고 Active Directory을 위해서도 그렇고, 우리는 System Status Backup 이 필요합니다. 문법은 간단합니다. On Windows 2008, System status backup is supported in the command line prompt. But it doesn’t support to backup same volume. So your backupTarget would be a another volume. |
Windows 2003 의 Cluster는 이전과는 달리 삭제가 불가능 합니다. cluster node nodename /forcecleanup 중요한 것은 만약 Binary들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Cleanup 한 이후 다시 클러스터에 재 조인을 하게 되면 해당 클러스터 관련 정보들이 복제 되기 때문에 거의 문제가 없이 클러스터에 조인이 가능 하다는 점 입니다. 물론 해당 작업을 하기 이전에 Active Node의 HKLM\Cluster 하위의 잘못 구성된 정보를 수정하셔야 겠죠? |
원인 규명을 위해 HKLM\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Netlogon\Parameters 의 레지스트리 키를 일일히 뒤졌습니다. Sysvolready 는 원래 DCpromo를 실행 하는 중이나 실행이 막 끝난 상태 혹은 백업을 하는 경우에 해당 값을 0으로 셋팅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내용을 수정하는 거죠… 전 일단 1로 수정해서 문제를 해결은 했습니다만… 언제 문제가 또 터질지 모르겠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