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TLB Flushing과 성능에 대한 이슈는 알려진것과 같습니다. 참고) TLB는 CPU에서 빠른 메모리 접근을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Virtual Address와 Physical Address를 mapping한 Table 입니다. 하지만 Nehalem CPU의 경우 VPID(Virtual Processor ID) 를 통해 TLB Cache에 대한 Overhead를 꽤 줄인것 같습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음) 아래 내용이 정확한지는 무책임하게도 저도 모릅니다.
SLAP는 GVM > GPA > SPA 로의 변환을 Hyper-V 가 담당 했었는데, 이걸 그냥 새로운 CPU에서 Cover 하고 있는 기능입니다. Back Data 출처 : http://www.realworldtech.com/page.cfm?ArticleID=RWT040208182719&p=8 |
오랫만에 글을 올리는군요… : ) 목적 : Page Size와 Lock Pages in Memory Large Page Size는 x64 CPU인 Westmere 부터는 1G까지 지원됩니다. 하지만 AMD의 문서를 보니 보통 2M씩 쓰는게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http://blogs.amd.com/developer/2009/02/23/huge-pages-and-numa-on-windows-operating-systems/) 하지만 실제로 Page Size가 2M로 증가하는 것은 아니고 4K짜리 512개를 모아서 2M인 것처럼 할당을 해주는거라고 합니다. 그래서 TLB에서만 이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말인건지… 좀 햇갈립니다. The JVM or other application makes a VirtualAlloc request to allocate a chunk of memory with a flag to map it to huge pages. The OS really deals in terms of 4K pages. To return a 2MB page it must find 512 contiguous 4K pages and those will then be locked in memory (they are not candidates for paging out). By default, it will look for such a 2MB block in the memory that is local to the requesting processor. If the OS cannot find a free 2MB page in local memory, it will search in memory from other nodes in the system. 아무튼 위와 같기 때문에 이 설정이 Lock Pages in Memory였던 거군요… · Windows Server 2008/2008 R2 have Large Memory Pages enabled by default (예를 들어 1M의 메모리를 할당하는 Application이 해당 메모리를 자주쓰는 경우 TLB는 256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2M짜리 Page Size를 이용하는 경우1~ 2번이면 가능하겠죠….) Large Page를 사용함으로 얻는 이익 : http://developer.amd.com/documentation/articles/Pages/2142006111.aspx JVM 이 Large Page Size를 사용하는 방법 : http://developer.amd.com/documentation/Articles/Pages/322006145.aspx (Lock Pages in memory 정책을 통한 설정에 추가적으로 튜닝 포인트를 언급) |
그냥 Dummy Hub를 들고 가서 패킷 캡쳐 하면 되겠죠? * IP Head의 ID 값을 확인 하면 2 End Point 간의 Packet의 동일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
Installing and Configuring MPIO Intel Advanced Networking Services - Teaming Modes - Virtual Machine Load Balancing
Hyper-V 권장 가상 프로세서 구성 성능 최적화를 위해서 Physical Processor: Virtual Processor Ratio는 SQL은 1:1, Exchange는 1:2 를 넘지 않게 설정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각 워크로드 별 성능 가이드를 따라서 해당 비율을 조정할 것을 권장함. ) VDI시나리오도 일반적으로는 1:3 또는 1:4 로 권고되고 있으나 실제 구축된 사례에서는 통상 물리적인 Logical Processor (Hyper Thread 를 포함함 CPU 갯수) 당 2개의 VM 정도의 비율로 구성을 합니다. For more performance - Close VMConnect |
AD DS의 Physical Structure (http://maystyle.tistory.com/544) 에 이어 작성 했습니다. AD DS Partitions 이전 챕터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AD DS 데이터베이스는 각 도메인 컨트롤러의 하드 디스크에 단일 파일로써 저장됩니다. 저장되는 정보는 몇개의 논리적인 파티션으로 구분되는데, 이 각각의 파티션은 각기 다른 타입의 정보를 저장합니다. AD DS 파티선은 소위 Naming contexts로 불립니다. AD DS의 파티션은 Ldp.exe 및 ADSI Edit 와 같은 툴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Domain Directory Partition 도메인 디렉토리 파티션은 도메인의 모든 정보(유저, 그룹, 컴퓨터, Contact)를 담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확인 하고 싶은 어떤 정보던지 ADS.msc 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onfiguration Directory Partition Configuration 디렉토리 파티션은 전체 포레스트의 설정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이트에 대한 모든 정보 및 사이트 링크 복제 커넥션이 이 Configuration 디렉토리 파티션에 저장됩니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한 이 파티션을 이용하게 되는데, Exchange는 자신의 모든 설정 정보를 자신의 디렉토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보다는 이 Configuration 파티션을 이용하여 저장합니다. 왜냐하면 이 Configuration 디렉토리 파티션은 전체 포레스트에 대한 정보이면서 전체 포레스트에 복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각각의 도메인 컨트롤러는 쓰기 가능한 Configuration 디렉토리 파티션을 가지고 있으며, 어느 도메인 컨트롤러든 해당 데이터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이는 Configuration 정보가 모든 도메인 컨트롤러사이에서 복제가 되게 되며, 또한 모든 도메인 컨트롤러사이에서 Configuration 정보가 복제 되게 되면 모든 도메인 컨트롤러는 같은 Configuration 정보를 지니게 됩니다. Schema Directory Partition 스키마 디렉토리 파티션은 전체 포레스트에 대한 스키마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스키마 디렉토리 파티션역시 전체 포레스트에 복제가 되나, 스키마 마스터의 룰을 가진 하나의 도메인 컨트롤러에서만전체 포레스트에서 쓰기 가능한 스키마 디렉토리 파티션의 복제본을 갖습니다.모든 변경은 스키마 마스터에서만 가능하며 전체 포레스트에 복제 되게 됩니다. Global Catalog Partition 글로벌 카탈로그 파티션은 이전의 파티션과는 다른 센스로 봐야하는 파티션 입니다. 글로벌 카탈로그 파티션 역시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저장되기는 하나 관리자는 해당 파티션의 정보에 대한 직접 접근을 할 수 없습니다. 글로벌 카탈로그 파티션의 모든 글로벌 카탈로그 서버상에 저장되는 읽기 전용 파티션이며, 이 정보는 도메인 데이터베이스의 일부 정보를 통해 생성됩니다. 각 어트리뷰트에는 isMemberOfPartialAttributeSet 이라는 불린값이 있는데 이 값이 True인 경우 해당 어트리뷰트는 글로벌 카탈로그 정보로써 복제 되게 됩니다. Application Directory Partition AD DS의 마지막 파티션은 Application Directory Partition 또는 Non-Domain Naming Context (NDAC) 입니다. 어플리케이션 디렉토리 파티션은 Application-specific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됩니다. 어플리케이션 디렉토리 파티션을 이용하는 이점 중 하나는 이 파티션의 리플리케이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특정 도메인컨트롤러들을 어플리케이션 디렉토리 파티션의 복제본을 갖도록 정의함으로서 복제 트레픽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디렉토리 파티션의 복제본에 대한 복제의 범위는 해당 포레스트의 도메인이 될수도 사이트가 될수도 있습니다. 최초에는 기본적으로 어떤 어플리케이션 디렉토리도 생성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DNS 설치를 선택한 경우 해당 도메인 컨트롤러는 2개의 어플리케이션 디렉토리 (ForestDnsZone, DomainDnsZone)이 DNS 서비스를 위하여 생성되게 됩니다. |
기본값은 백업 대상과 백업 위치가 같은 위치일 경우 Backup이 실패하게 되는 것 입니다. 하지만 C:\에 시스템 상태 백업을 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해보세요. - Workaround |
P2V 를 하게되면 Physical Server 의 MAC Address 까지 똑같이 복제된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