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 tes-0이 두 개로 보이는군요. 그래서 로그를 한번 봤습니다. 08103 [1]05B8.0AB8::2014-04-15 16:34:56.880 [Microsoft-VirtualMachineManager-Debug]26,4,VMRemovedEventProcessor.cs,83,Eventing Refresher (VM Removed) - Updating VM tes-0:5919706D-6D83-45BC-876F-F1AC5C6873F1 to Missing state from PowerOff. Refresher ID: 13e6be4b-da5f-4117-b74e-2136f04cd299,{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26174 [1]05B8.084C::2014-04-15 16:43:14.166 [Microsoft-VirtualMachineManager-Debug]26,4,VmRefresher.cs,2404,We are trying to add new VM tes-0:CF472C21-B969-4C6B-81E0-A5CDA9442EA8. Refresher ID: 0b5f3ff7-fb51-4491-bf33-661529c08485,{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역시 로그는 위대 합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VMM 로그상에서 Refresher 즉 새로 고침을 통해 해당 VM이 제거된걸 로그상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확인하였습니다. 하지만 VMM 콘솔에서는 여전히 Missing으로 보여주고 있군요. 다만 이러한 설정을 자동으로 진행 되도록 할 수는 있는데… 권고 사항은 아니니 충분히 고려하시고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HKLM\Software\Microsoft\Microsoft System Center Virtual Machine Manager\Server, name=DeleteVmsFromVMMWhenDeletedFromHyperV 감사합니다. 중요한 점은 SCVMM을 통해서만 VM을 관리하라! 라는 점이죠. 그렇다면 절대 이런 문제를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늘도 역시 SCOM 애기를 좀 해야 할꺼 같은데요. 데이터 엑세스 서비스란 SCOM의 관리 서버들이 제공하는 SCOM DB 등에 대한 접속 관리 서비스로 예를 들면 우리가 흔히 이용하는 SCOM관리 콘솔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여러분이 때에 따라서 SCOM이 발생 시키는 여러 ALERT에 대한 Recovery Runbook을 SCOr (시스템 센터 오케스트레이터)등에 등록하여 서비스를 하는데 이때 필요에 따라 고 가용성을 확보 해야 할 수 있습니다. 자 실은 관제의 경우 둘 또는 셋 이상의 관리 서버 구성만으로 고 가용성이 확보 됐지만 데이터 엑세스 서비스 또한 그렇게 가능할까요? 만약 H/W L4를 통해 구현하신다면 아래와 같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Load-balanced address: Physical server nodes: OpsMgr Console service: Health Check Method: LooksAlive TCP probe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당연히 Windows Server 2012 R2 및 System Center 2012 R2 기반입니다. IaaS PLA Public Versions Microsoft 파트너분들은 좀 더 많은 내용이 제공되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현상 원인 해결 방안 추가 구현 사항 기타 * 참고 사항 : Server 쪽의 Sinvproc.log 를 보면 해당 이슈 발생 시 로그에 “File size of 11013429 byte has exceeded the limit of 5000000 byte” 라는 메세지가 기록됩니다. Trouble Shooting에 참고하세요. |
Private Cloud 및 System Center 배포 시 사용되는 Firewall 구성 요구 사항 모음 Active Directory : http://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dd772723(WS.10).aspx 귀찮아두 한번은 정리해야 할듯해서요… |
1. WSUS 초기화를 WSUS 서버에서 직접 진행 합니다. 중요한 부분은 초기화를 진행 할 때 실제 업데이트 할 범위를 직접 정의 하는 부분입니다. 2. 만약 CM과 WSUS를 공유하는 경우에는 아래 “업데이트 서버 구성 변경 허용”을 활성화 합니다. |